728x90
그래프를 DFS로 탐색한 결과와 BFS로 탐색한 결과를 출력하는 문제
더보기
문제
그래프를 DFS로 탐색한 결과와 BFS로 탐색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방문할 수 있는 정점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정점 번호가 작은 것을 먼저 방문하고, 더 이상 방문할 수 있는 점이 없는 경우 종료한다. 정점 번호는 1번부터 N번까지이다.
입력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1≤N≤1,000, 간선의 개수 M1≤M≤10,000,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가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 어떤 두 정점 사이에 여러 개의 간선이 있을 수 있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간선은 양방향이다.
출력
첫째 줄에 DFS를 수행한 결과를, 그 다음 줄에는 BFS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V부터 방문된 점을 순서대로 출력하면 된다.
DFS는 재귀함수로
BFS는 queue로 구현했습니다.
import sys
def dfs(S):
v[S] = True # 방문 표시
li.append(S) # 방문한 노드 저장
for a in sorted(A[S]): # 정렬한 순서대로 방문하지 않은 노드에 대해서 재귀호출
if not v[a]:
dfs(a)
def bfs(S):
v[S] = True
q = [S]
while q: # 큐에 원소가 존재하는 동안 반복 -> 방문할 노드가 남은 상태
node = q.pop(0)
li.append(node) # 방문 순서대로 노드 저장
for a in sorted(A[node]):
if not v[a]: # 이전에 방문 안한 노드에 대해서
v[a] = True # 방문 표시
q.append(a) # 방문하기 위해 노드를 큐에 저장
if __name__ == "__main__":
N, M, S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A = [[] for _ in range(N + 1)]
# 그래프를 2차원 리스트로 생성
# 각 인덱스 번호의 내부 원소(숫자)가 서로 연결됨을 나타냄
for _ in range(M):
i, j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A[i].append(j)
A[j].append(i)
# for a in A:
# if a:
# a.sort()
# 주석 처럼 그래프 정보를 담은 A를 미리 다 정렬하고 dfs, bfs 함수에 입력해도 되지만,
# 이 코드는 내부에서 매번 정렬해서 처리했습니다.
# li = 방문한 노드를 순서대로 저장할 리스트
# v = 방문한 노드 표시할 리스트/ False - 미방문, True - 방문
li = []
v = [False] * (N+1)
dfs(S)
print(" ".join(map(str, li)))
li = []
v = [False] * (N+1)
bfs(S)
print(" ".join(map(str, li)))
더보기
예제 입력 1
4 5 1
1 2
1 3
1 4
2 4
3 4
예제 출력 1
1 2 4 3
1 2 3 4
예제 입력 2
5 5 3
5 4
5 2
1 2
3 4
3 1
예제 출력 2
3 1 2 5 4
3 1 4 2 5
예제 입력 3
1000 1 1000
999 1000
예제 출력 3
1000 999
1000 999
'IT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541번 잃어버린 괄호 [Python] - 그리디 0 | 2023.09.28 |
---|---|
[프로그래머스] Lv.1 카드 뭉치 [Python] 2 | 2023.09.28 |
[프로그래머스] Lv.1 2016년 [Python] 0 | 2023.09.27 |
[백준] 21736번 헌내기는 친구가 필요해 [Python] - 그래프 이론 0 | 2023.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