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본문 바로가기

728x90

ASCII

3
아스키코드표[ASCII Code Table] 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미국 정보 교환 표준 부호) 아스키 코드는 1963년 미국 ANSI에서 표준화한 정보교환용 7비트 부호체계이다. 인쇄전신기(Teleprinter)를 통한 전신(통신)에서 사용되기 시작했고, 8비트 컴퓨터에서도 활용되어 오늘날 문자 인코딩의 근간을 이루게 된다. 000(0x00)부터 127(0x7F)까지 총 128개의 부호가 사용된다. 1바이트를 구성하는 8비트 중에서 7비트만 쓰도록 제정된 이유는, 나머지 1비트를 통신 에러 검출을 위한 용도로 비워두었기 때문이다. Parity Bit라고 해서, 7개의 비트 중 1의 개수가 홀수면 1, 짝수면 0으로 하는 식의 패리..
[프로그래머스] Lv.1 둘만의 암호 [Python] - 아스키코드 주어진 문자열 s의 알파벳을 skip에 들어있는 알파벳은 건너 뛰고 index만큼 뒤에 있는 알파벳으로 변경하는 문제 소문자로만 주어짐 더보기 문제 설명 두 문자열 s와 skip, 그리고 자연수 index가 주어질 때, 다음 규칙에 따라 문자열을 만들려 합니다. 암호의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문자열 s의 각 알파벳을 index만큼 뒤의 알파벳으로 바꿔줍니다. index만큼의 뒤의 알파벳이 z를 넘어갈 경우 다시 a로 돌아갑니다. skip에 있는 알파벳은 제외하고 건너뜁니다. 예를 들어 s = "aukks", skip = "wbqd", index = 5일 때, a에서 5만큼 뒤에 있는 알파벳은 f지만 [b, c, d, e, f]에서 'b'와 'd'는 skip에 포함되므로 세지 않습니다. 따라서 'b', ..
[백준] 17176번 암호해독기 [Python] - 아스키코드 0은 띄어쓰기, 1 - 26 범위 안의 수는 A ~ Z, 27 - 52 범위 안의 수는 a ~ z로 해석 평문을 암호화해서 주어진 암호문을 만들 수 있는지 확인하는 문제 더보기 문제 방금 도착한 암호문을 해독했는데, 해독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해보려 한다. 해독한 문장이 암호문을 해석한 결과로 나올 수 없다면, 그 해독은 잘못된 것이다. 암호문은 0 이상 52 이하의 정수로 이루어져 있다. 0은 띄어쓰기, 1 - 26 범위 안의 수는 A ~ Z, 27 - 52 범위 안의 수는 a ~ z로 해석된다. 암호문은 띄어쓰기를 포함한 모든 철자를 이와 같이 정수로 치환한 후 순서를 무작위로 뒤섞어서 만들어졌다. 입력 첫 번째 줄에는 주어질 수열의 길이 N이 주어진다. (1N100,000) 두 번째 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