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244)
[백준] 1987번 알파벳 [Python] RxC 크기의 보드 각 칸에 알파벳이 놓여있다. 현재 말이 $($1, 1$)$에 놓여 있고, 상하좌우로 인접한 칸으로 이동 가능하고, 한 번도 마주친적 없는 알파벳이 있는 곳으로만 이동 가능합니다. 말이 최대 지날 수 있는 칸 수를 구하는 문제 더보기 문제 세로 R칸, 가로 C칸으로 된 표 모양의 보드가 있다. 보드의 각 칸에는 대문자 알파벳이 하나씩 적혀 있고, 좌측 상단 칸 $($1행 1열$)$ 에는 말이 놓여 있다. 말은 상하좌우로 인접한 네 칸 중의 한 칸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새로 이동한 칸에 적혀 있는 알파벳은 지금까지 지나온 모든 칸에 적혀 있는 알파벳과는 달라야 한다. 즉, 같은 알파벳이 적힌 칸을 두 번 지날 수 없다. 좌측 상단에서 시작해서, 말이 최대한 몇 칸을 지날 수 있는지를 구..
[백준] 11054번 가장 긴 바이토닉 부분 수열 [Python] 수열 S가 어떤 수 $S_k$를 기준으로 $S_1 S_N$을 만족한다면, 그 수열을 바이토닉 수열이라고 한다. 주어진 수열의 가장 긴 바이토닉 부분 수열의 길이를 구하는 문제 더보기 문제 수열 S가 어떤 수 $S_k$를 기준으로 $S_1 S_{k+1} > ... S_{N-1} > S_N$을 만족한다면, 그 수열을 바이토닉 수열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10, 20, 30, 25, 20}과 {10, 20, 30, 40}, {50, 40, 25, 10} 은 바이토닉 수열이지만, {1, 2, 3, 2, 1, 2, 3, 2, 1}과 {10, 20, 30, 40, 20, 30} 은 바이토닉 수열이 아니다. 수열 A가 주어졌을 때, 그 수열의 부분 수열 중 바이토..
[백준] 10830번 행렬 제곱 [Python] NxN 행렬 A의 B 제곱을 구하는 문제 각 원소를 1,000으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 더보기 문제 크기가 N*N인 행렬 A가 주어진다. 이때, A의 B제곱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수가 매우 커질 수 있으니, $A^B$의 각 원소를 1,000으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행렬의 크기 N과 B가 주어진다. $(2 ≤ N ≤ 5, 1 ≤ B ≤ 100,000,000,0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행렬의 각 원소가 주어진다. 행렬의 각 원소는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출력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행렬 A를 B제곱한 결과를 출력한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0830 아래 규칙으로 홀/짝에 대해서 분할 정복 $A = A..
[백준] 13172번 Σ [Python] N면체 주사위의 숫자 합이 S라고 하자. M개의 주사위의 각 기댓값의 합을 기약분수로 나타낼 때, 그 값을 1,000,000,007로 나눈 나머지 값을 출력하는 문제 더보기 문제 실제로 존재하는지 아닌지는 차치하고, 당신에게 삼면체 주사위가 있어서 이 주사위를 굴린다고 생각해보자. 주사위를 굴렸을 때 각 면이 나올 확률은 모두 동일하게 1/3 이다. 한 면에는 1, 다른 한 면에는 2, 남은 한 면에는 4가 적혀있다고 하면 주사위를 굴렸을 때 나오게 되는 숫자의 기댓값은 과연 몇일까? 간단하게도 셋의 평균인 7/3이 될 것이다. 이 문제를 조금 확장해서, "N면체 주사위의 각 면에 적힌 수가 주어졌을 때, 주사위를 굴렸을 때 각 면이 나올 확률이 모두 같다면 주사위를 굴렸을 때 나오게 되는 수의 기댓값은..
[백준] 2448번 별 찍기 - 11 [Python] 아래 예제를 보고 규칙을 유추하여 주어진 N$(=3*2^k)$에 대해서 별을 출력하는 문제 2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더보기 문제 예제를 보고 규칙을 유추..
[백준] 1504번 특정한 최단 경로 [Python] - 데이크스트라 무방향 그래프에 1번에서 u, v 노드를 거쳐서 N번 노드로 가는 최단 경로의 길이를 구하는 문제 1-u-v-N, 1-v-u-N 의 규칙만 지켜서 최단 경로를 구하면 된다. 불가능 할 때, -1을 출력한다. 더보기 문제 방향성이 없는 그래프가 주어진다. 세준이는 1번 정점에서 N번 정점으로 최단 거리로 이동하려고 한다. 또한 세준이는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면서 이동하는 특정한 최단 경로를 구하고 싶은데, 그것은 바로 임의로 주어진 두 정점은 반드시 통과해야 한다는 것이다. 세준이는 한번 이동했던 정점은 물론, 한번 이동했던 간선도 다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최단 경로로 이동해야 한다는 사실에 주의하라. 1번 정점에서 N번 정점으로 이동할 때, 주어진 두 정점을 반드시 거치면서 최단 경로로 이동..
[백준] 17070번 파이프 옮기기 1 [Python] - 다이나믹 아래 규칙에 의해서 NxN 격자판에서 $($1, 1$)$에서 $($N, N$)$으로 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 불가능할 경우 0을 출력 처음에는 $($1, 1$)$, $($1, 2$)$에 걸친 파이프가 놓여있다. 파이프를 이동하려면 위 그림처럼 가로는 오른쪽, 세로는 아래, 대각선은 오른쪽, 아래, 오른쪽 아래에 아무것도 없어야 합니다. 격자 내에 벽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문제 유현이가 새 집으로 이사했다. 새 집의 크기는 N×N의 격자판으로 나타낼 수 있고, 1×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칸은 $(r, c)$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r은 행의 번호, c는 열의 번호이고, 행과 열의 번호는 1부터 시작한다. 각각의 칸은 빈 칸이거나 벽이다. 오늘은 집 ..
[백준] 1043번 거짓말 [Python] N명의 사람들이 일부 또는 모두가 M개의 파티에 참여한다. 그곳에서 지민이가 들키지 않고 거짓말할 수 있는 파티 개수의 최댓값을 구하는 문제 사람마다 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N, M이 주어지고, 다음 줄에 이미 진실을 아는 사람의 수와 그 번호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 부터는 M개의 파티에 참여하는 사람의 번호가 주어진다. 진실을 아는 사람과 또는 그 사람과 같은 파티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모두 진실을 알게 된다. 더보기 문제 지민이는 파티에 가서 이야기 하는 것을 좋아한다. 파티에 갈 때마다, 지민이는 지민이가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를 한다. 지민이는 그 이야기를 말할 때, 있는 그대로 진실로 말하거나 엄청나게 과장해서 말한다. 당연히 과장해서 이야기하는 것이 훨씬 더 재미있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과장해서..
[백준] 1918번 후위 표기식 [Python] 후위 표기식으로 바뀐 식을 구하는 문제 더보기 문제 수식은 일반적으로 3가지 표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연산자가 피연산자 가운데 위치하는 중위 표기법(일반적으로 우리가 쓰는 방법이다), 연산자가 피연산자 앞에 위치하는 전위 표기법$($prefix notation$)$, 연산자가 피연산자 뒤에 위치하는 후위 표기법$($postfix notation$)$이 그것이다. 예를 들어 중위 표기법으로 표현된 a+b는 전위 표기법으로는 +ab이고, 후위 표기법으로는 ab+가 된다. 이 문제에서 우리가 다룰 표기법은 후위 표기법이다. 후위 표기법은 위에서 말한 법과 같이 연산자가 피연산자 뒤에 위치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우리가 흔히 쓰는 중위 표기식 같은 경우에는 덧셈과 곱셈의 우선순위에 차..
[백준] 11444번 피보나치 수 6 [Python] $10^18$ 이하의 자연수 n에 대해서 n번째 피보나치 수를 $10^9+7$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는 문제 더보기 문제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 된다. n=17일때 까지 피보나치 수를 써보면 다음과 같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987, 1597 n이 주어졌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1,000,000,000,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
[백준] 1167번 트리의 지름 [Python] 트리의 지름을 구하는 문제 N개의 노드에 대해서 각 노드마다 한 줄에 그 노드, 연결된 노드1, 거리1, 노드2, 거리2, ... -1 이런 구조로 정보가 주어진다. 예$)$ 3, 1, 2, 4, 3, -1 >>> 3과 1은 거리가 2; 3과 4는 거리가 3; -1: 끝 의미 트리$($tree$)$는 사이클이 없는 무방향 그래프이다. 트리에서는 어떤 두 노드를 선택해도 둘 사이에 경로가 항상 하나만 존재하게 된다. 트리에서 어떤 두 노드를 선택해서 양쪽으로 쫙 당길 때, 가장 길게 늘어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럴 때 트리의 모든 노드들은 이 두 노드를 지름의 끝 점으로 하는 원 안에 들어가게 된다. 이런 두 노드 사이의 경로의 길이를 트리의 지름이라고 한다. 정확히 정의하자면 트리에 존재하는 모든 경..
[백준] 1865번 웜홀 [Python] - 벨만 포드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만큼 아래 주어진 정보로 답을 구해야 한다. N개의 지점에 M개의 도로$($무방향$)$와 W개의 웜홀$($단방향$)$이 있다. 도로와 웜홀은 시작 위치, 도착 위치, 소요 시간으로 주어진다. 소요 시간은 0 이상, 10,000 이하인데, 웜홀은 도로와 다르게 소요 시간만큼 시간이 줄어든다. - 음수처럼 생각하면 쉽다. 각 테스트 케이스에서 처음 위치로 되돌아 올 때, 시간이 과거로 갈 수 있다면 YES, 불가능하면 NO를 출력하는 문제 TC N, M, W 도로 정보 M개 웜홀 정보 W개 x TC 수만큼 반복 더보기 문제 때는 2020년, 백준이는 월드나라의 한 국민이다. 월드나라에는 N개의 지점이 있고 N개의 지점 사이에는 M개의 도로와 W개의 웜홀이 있다. $(단 도로는 방향이 없으..